뉴스 & 리서치

크립토 속보

크립토 속보

  14 July 2025

03:08 AM
바이낸스US, X 프로필 사진 퍼지펭귄으로 변경

바이낸스US가 X 계정 프로필 사진을 퍼지펭귄으로 변경했다. 앞서 코인베이스, 오픈씨도 X 프로필 사진을 퍼지펭귄으로 바꾼 바 있다.

03:05 AM
메타플래닛, 797 BTC 추매

비트코인을 주요 자산으로 편입한 일본 상장사 메타플래닛이 797 BTC(9,368만 달러)를 추가 매수했다고 X를 통해 밝혔다. 이에 따라 메타플래닛의 총 보유량은 16,352 BTC로 증가했다.

02:52 AM
24시간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강제청산 규모

최근 24시간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 강제청산 규모 및 청산 비율은 다음과 같다. BTC 청산 규모: $8448만, 청산 비율: 숏 90.57% ETH 청산 규모: $5044만, 청산 비율: 숏 58.09% XLM 청산 규모: $1467만, 청산 비율: 숏 64.27%

02:46 AM
익명 고래, 10일간 $5630만 ETH 매집

한 익명 고래가 7월 4일부터 현재까지 총 20,300 ETH(5,630만 달러)를 매수했으며, 전량을 탈중앙화 대출 프로토콜 아베(AAVE) 및 컴파운드(COMP)에 예치했다고 룩온체인이 전했다.

02:16 AM
FT "암호화폐 기업들, 美 은행업 진출 속도전"

암호화폐 기업들이 미국의 우호적인 규제 환경을 활용해 은행업 진출에 서두르고 있다고 파이낸셜 타임즈가 보도했다. 매체는 "현재 리플랩스, 서클, 암호화폐 커스터디 업체 비트고가 은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내셔널 트러스트 뱅크 설립 인가를 신청했다. 인가를 받으면 여·수신 서비스는 제공하지 못하지만 자산 커스터디와 결제 처리는 가능하다. 개별 주로부터 라이선스를 신청하지 않고도 금융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크라켄은 다음달 중으로 은행 카드를 출시할 계획이고 로빈후드 역시 올 가을 일부 은행 서비스를 출시한다. 이같은 움직임은 암호화페 기업들이 단순히 디지털 자산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그치지 않고 사업 영역을 확장하려고 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또 디지털 은행과 암호화폐는 갈수록 긴밀해지고 있으며 핀테크 기업들은 미국 고객을 확보하기 위해 빠르게 성장 중인 암호화폐를 활용하려고 노력한다. 뱅크오브아메리카 등 공룡급 은행들도 미국의 규제안이 의회 문턱을 넘어서면 자체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미국 의회는 이번주 크립토위크를 맞아 스테이블코인 규제법(GENIUS), 디지털 자산 시장 구조 법안(CLARITY), CBDC 금지법 투표를 진행할 예정이다.

02:05 AM
비트와이즈 CEO "이더리움 경쟁자는 비트코인 아닌 기존 금융 서비스"

이더리움의 경쟁자는 비트코인이 아니라고 암호화폐 자산운용사 비트와이즈 CEO 헌터 호슬리가 평가했다. 그는 X를 통해 "이더리움의 경쟁자는 비트코인이 아닌 웹2 및 기존 금융서비스 소프트웨어다. 우리는 향후 6~12개월 안에 시가총액 규모만을 기준으로 프로젝트 가치를 평가하던 '코인마켓캡(CoinMarketCap)' 시대를 벗어나, 다양한 프로젝트의 다양한 사용 사례와 가능성을 발견하는 시대를 맞이하게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01:54 AM
월렛 정리 중 실수로 $7만 PUMP 소각

암호화폐 인플루언서 크립토차밍이 X를 통해 "보유 중인 월렛에서 자잘한 에어드롭 물량을 정리하던 중에 실수로 75,000달러 상당의 PUMP를 소각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 사실을 모르고 있다가 이같은 온체인 데이터를 올린 다른 인플루언서의 X 포스팅을 본 뒤에야 알게 됐다고 덧붙였다.

01:52 AM
퍼지펭귄 디플로이어, $806만 PENGU 거래소 입금

아캄에 따르면 NFT 프로젝트 퍼지펭귄(PENGU) 디플로이어(컨트랙트 배포자) 주소가 2.7억 PENGU(806만 달러)를 바이낸스, 바이비트 등 여러 거래소로 나눠 입금했다.

01:32 AM
라그랑주 재단, LA 바이백 검토

라그랑주(LA) 재단이 토큰 가격 안정화를 위해 LA 바이백을 검토 중이라고 X를 통해 밝혔다. 바이백을 통해 매입한 LA는 커스터디 기관 또는 프라임 브로커리지 계좌에 보관되며, 재단 및 생태계 이익을 위한 조치라고 재단은 설명했다.

01:31 AM
외신 "중국계 기업들, 홍콩서 스테이블코인 라이선스 신청 러시"

홍콩에서 스테이블코인 라이선스 신청을 준비 중인 기업이 약 60곳이며 이 중 절반이 중국 기업이라고 홍콩 현지 매체 hk01이 보도했다. 라이선스 신청을 준비 중인 기업들은 대부분 결제 및 인터넷 기업인 것으로 알려졌다. 매체는 "8월 1일 스테이블코인 조례가 본격 발효되면 신청이 대거 몰릴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당국은 3~4곳 정도만 승인할 것으로 예상된다. 스테이블코인 시장 선점을 위한 치열한 경쟁이 곧 시작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