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리서치

크립토 속보

크립토 속보

  30 June 2025

07:47 AM
바이비트, FRAG 현물 상장

바이비트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오는 7월 1일 17시 30분(한국시간) FRAG/USDT 현물 거래 페어를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07:34 AM
하이퍼리퀴드 고래, $1.07억 규모 BTC 숏 포지션 오픈

하이퍼리퀴드 고래 아귈러트레이즈(AguilaTrades)가 비트코인 20배 숏 포지션을 오픈했다고 온체인 애널리스트 ai_9684xtpa가 전했다. 포지션 규모는 1,000.85 BTC(1.07억 달러 상당), 진입가는 107,613.1 달러, 청산가는 116,550 달러다. ai_9684xtpa는 "해당 주소는 추세추종 트레이딩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 BTC가 상승하면 롱 포지션을, 하락하면 숏 포지션을 오픈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06:57 AM
캔터 피츠제럴드, 윈터뮤트에 BTC 담보대출 제공

미국 투자은행 캔터 피츠제럴드가 런던 소재 암호화폐 마켓 메이킹 업체 윈터뮤트에 비트코인 담보 대출을 제공한다고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캔터는 지난달 말 20억 달러 규모 BTC 담보 대출 프로그램 가동을 시작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윈터뮤트의 대출 한도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다.

06:47 AM
분석 “BTC 공급이 수요보다 많아...단기 하방 압력 주의”

신규 공급량(채굴량)과 1년 이상 비활성 상태로 유지된 BTC 물량을 비교한 명목 수요(Apparent Demand)의 30일 단순이동평균(SMA)은 최근 다시 음수로 전환됐다고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크레이지블록(Crazzyblockk)이 전했다. 크레이지블록은 “해당 지표가 음수로 돌아섰다는 것은 시장에 유입되는 자금보다 장기 보유자 및 채굴자들의 공급이 더 많아졌음을 의미한다. 수급 균형이 무너질 경우 단기적으로 비트코인 가격에 하방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06:23 AM
볼츠 캐피털, 40 BTC 추가 매입

영국 상장사 볼츠 캐피털이 40 BTC를 추가 매입했다고 공시했다. 약 443만 달러 상당이다. 현재 볼츠캐피털은 총 50 BTC를 보유 중이다.

06:16 AM
3대 선물 거래소 BTC 무기한 선물 롱숏 비율

미결제약정 기준 세계 3대 암호화폐 선물 거래소 내 최근 24시간 BTC 무기한 선물 롱·숏 포지션 비율은 다음과 같다. 전체 거래소: 롱 50.88% / 숏 49.12% 1.바이낸스: 롱 51.45% / 숏 48.55% 2.바이비트: 롱 50.27% / 숏 49.73% 3.게이트아이오: 롱 51.11% / 숏 48.89%

06:16 AM
더블록체인그룹, 60 BTC 추가 매입

프랑스 기업 더블록체인그룹(The Blockchain Group)이 60 BTC를 매입했다고 공식 X를 통해 밝혔다. 약 645만 달러(550만 유로) 상당이다. 이에 따라 더블록체인그룹의 총 BTC 보유량은 1788개로 늘었다.

06:15 AM
분석 "BTC 과매수도, 과매도도 아냐...상승 여력 남았다"

비트코인이 현재 과매수도, 과매도도 아닌 중립 구간에서 거래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크립토퀀트 애널리스트 악셀 애들러 주니어(Axel Adler Jr)는 "BTC의 실현 공급 분포(Realized Supply Distribution) 비율은 연간 평균보다 약간 높은 상태로 2024년 11월과 유사한 수준이다. 당시 가격은 7.4만 달러에서 10.7만 달러까지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05:18 AM
필리퀴드, BSC서 FIG 스테이킹 기능 출시

파일코인(FIL) 기반 디파이 플랫폼 필리퀴드가 BNB 스마트 체인(BSC)에서 FIG 스테이킹 기능을 출시했다고 전했다. 필리퀴드는 “이에 따라 기존 파일코인 네트워크에 한정됐던 FIG 유동성이 크로스체인으로 확장된다. FIG 스테이킹은 출시 초기 수 백 퍼센트 수준의 APR을 제공하며, 총 2,000만 FIG 보상 풀을 3년에 걸쳐 분배한다”고 설명했다.

04:24 AM
BNB 스마트 체인, 맥스웰 업그레이드 완료

BNB 스마트 체인(BSC)이 맥스웰 업그레이드를 완료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내 평균 블록 생성 시간이 1.5초에서 0.8초로 단축됐다. 이외에 네트워크 확장성이 높아지고 밸리데이터 동기화 기능도 강화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