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April 2025
|
비트겟이 1분기 30,006,905 BGB를 소각했다고 밝혔다. 이번 소각은 BGB 토큰의 유통량 관리 및 생태계 가치 제고를 위한 정기적 메커니즘에 따른 것이다. 비트겟은 지난 1월 총 공급량의 40%에 해당하는 8억 BGB의 팀 보유분을 전량 소각한 바 있으며 이에 따라 BGB의 유통량은 20억 개에서 12억 개로 감소했다.
|
8 April 2025
|
솔라나 기반 밈코인 발행 플랫폼 펌프닷펀 추정 주소가 크라켄에 84,358 SOL(930만 달러 상당)를 입금했다고 온체인 렌즈가 전했다. 해당 주소는 지금까지 총 3,245,238 SOL(3.1억 달러 상당)을 거래소에 입금했다.
|
zkEVM 이더리움 레이어2 네트워크 리네아의 TGE가 강세장 전환 후에 진행될 예정이라고 리네아 프로젝트 매니저 데클란 폭스(Declan Fox)가 전했다. 그는 "TGE 일정이 확정되는 대로 진행 상황을 공유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4 April 2025
|
펌프닷펀 "라이브스트리밍 서비스 재개... 검열정책 구축"
솔라나 기반 밈코인 발행 플랫폼 펌프닷펀이 홈페이지를 통해 "일시적인 운영 중단 후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가 재개됐다"며 "업계 표준의 검열 정책(Moderation Policy)과 투명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5%의 사용자에게만 공개한다"고 전했다. 검열 정책은 향후 커뮤니티, 검토자, 정책 전문가 및 기타 이해관계자의 피드백에 따라 업데이트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
2 April 2025
|
펌프닷펀, 밈코인·NFT 매입 자금 조달 위한 대출 플랫폼 출시
솔라나 기반 밈코인 발행 플랫폼 펌프닷펀이 밈코인 매입 자금 조달을 위한 대출 플랫폼 펌프닷파이(Pump.Fi)를 출시했다.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이용자는 펌프닷파이를 통해 자금의 1/3만 선불, 나머지는 60일 동안 후불 방식으로 밈코인 및 NFT를 매입할 수 있다.
|
1 April 2025
|
솔라나 기반 밈코인 발행 플랫폼 펌프닷펀 추정 주소가 65,284 SOL(815만 달러 상당)를 입금했다고 온체인 렌즈가 전했다. 해당 주소는 올해 총 1,638,597 SOL(3.14억 달러 상당)을 크라켄에 입금했으며, 전체 누적으로는 3,238,352 SOL(4.56억 달러 상당)을 입금했다.
|
25 March 2025
|
펌프닷펀 추정 주소가 2시간 전 54,113 SOL(781만 달러)를 크라켄에 입금했다고 온체인 애널리스트 온체인 렌즈가 전했다. 펌프닷펀은 올 들어 총 157.3만 SOL(2억 9326만 달러)를 거래소에 입금했다.
|
18 March 2025
|
솔라나 기반 밈코인 발행 플랫폼 펌프닷펀의 3월 매출이 약 9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워처구루가 보도했다. 2월 기준 펌프닷펀의 일일 수수료 수익은 12,000 SOL를 기록한 반면, 현재는 1,000 SOL 수준에 그쳤다. 미디어는 "연초 상승세를 보인 펌프닷펀의 매출이 현재는 급격하게 하락하고 있다"며 "펌프닷펀에 대한 관심도 하락은 밈코인 시장의 급격한 둔화로 인해 생긴 부산물일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
레이디움, 펌프닷펀 유사 토큰 런치패드 출시 예정
솔라나 기반 탈중앙화 거래소(DEX) 레이디움(RAY)이 펌프닷펀과 유사한 토큰 런치패드 런치랩(LaunchLab)을 출시할 예정이라고 블록웍스가 보도했다. 이는 펌프닷펀이 기존 레이디움을 대체할 자체 자동화 마켓메이커(AMM) 솔루션을 테스트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는 소식이 확산된지 한달 만에 나온 내용으로, 미디어는 "본질적으로 레이디움과 맺은 비공식적 파트너십을 끊는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레이디움의 런치랩은 토큰 수요 및 가격에 맞는 선형, 지수 등을 제공하며 타사 UI가 자체 수수료를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솔라나 기반 밈코인 발행 플랫폼 펌프닷펀 추정 주소가 1시간 전 196,370 SOL(2531만 달러)를 크라켄에 입금했다고 온체인 애널리스트 온체인 렌즈가 전했다. 펌프닷펀은 올해 들어 총 2억 8542만 달러 상당의 SOL을 거래소에 입금했으며 현재 4억 837만 달러 규모의 SOL을 보유 중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