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지지선 및 저항선 레벨처럼 피벗 포인트 레벨도 영원히 지속되지 않습니다.
또한 레인지 거래에 있어서 피벗 포인트의 활용은 잘되지만 항상 그렇지는 않습니다. 레벨이 지속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다른 툴을 사용하여 적응해야 합니다.
앞서 언급했지만, 브레이크 아웃을 이용한 거래는 2 가지가 있습니다. 적극적인 방법 또는 안전한 방법입니다.
안전 조치를 취하는 경우에는 지지선 또는 저항선의 재테스트를 기다릴 것이기 때문에 첫 번째 움직임에 관해서는 기회를 놓칠 것입니다.
브레이크 아웃을 노린 피벗 포인트 - Using Pivot Points to Trade Potential Breakouts
피벗 포인트를 이용한 브레이크 아웃 방법을 살펴 보겠습니다. 아래는 EUR / USD 15 분 차트입니다.

EUR / USD 가격으로 하루 종일 강력한 회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피벗 포인트의 약간 위쪽에서 갭이 발생한 후 가격은 R1에서 희미하게 정체하기 전에 급상승하고 있습니다.
결국 저항선이 브레이크하고 50pips도 되튐했습니다.
여기에서 적극적인 방법을 취했었더라면 첫 번째 움직임을 잡고 상당한 이익이 생겼을 것입니다.
한편, 안전망을 잡는다면 다시 테스트를 기다 립시다. 그러나 R1에서 브레이크 한 후 다시 테스트가 보여지지 않았습니다. 실제로 R1과 R2에서 같은 일이 일어났습니다.
강세 EUR / USD가 어떻게 R3까지 가려고 했는지에 주목 해 봅시다.
그러나 적극적인 방법을 쓰고 있으면 가격이 최초의 브레이크를 유지할 수 없었기 때문에 겉치레에 빠져 있던 것입니다. 역지정가가 너무 좁아서 결제되어 있던 것입니다.
결국 가격은 브레이크 빠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브레이크 한 저항선 라인에서 다시 테스트가 어떻게 생겼는지봅시다.
또한 그날 페어가 어떻게 반전하고 R3를 넘은 곳에서 브레이크 다운 했는지도 관찰해 둡시다. 저항선에서 지지선 그리고 저항선으로 다시 테스트한 곳에서 매도 주문을 넣을 기회였습니다.
지지선 레벨이 브레이크하면 대개 저항선 레벨로 바뀐다는 것을 머리에 넣어 둡시다.
이것은 "롤 리버설 (Roll Reversal)"라는 개념에서 저항선 레벨이 브레이크하면 지지선 레벨과 역할이 변화하는 것을 말합니다. *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안전 조치를 취한 것이 좋다고 생각할때 기회로 보면 좋을 것입니다.
어디에 역지정가를 넣어 탈주브레이크 아웃을 노린 대상을 찾는 것인가?
브레이크 아웃을 노린 거래에서 어려운 일 중 하나가 역지정가 주문을 넣는 곳을 진단하는 것입니다. 피벗 포인트 지지선 및 저항선 브레이크를 찾는 레인지 거래와 달리 강력하고 빠른 움직임을 찾는 것입니다.
이론상 레벨이 브레이크하면 "지지선에 바뀔 저항선" 또는 "저항선에 바꿀 지지선"가 됩니다. 이것은 역할이 반전하기 때문에 "롤 리버설 (Roll Reversal)"이라고 불립니다.
매수를 넣고 가격이 R1을 빠진다면, R1 바로 아래에 역지정가를 넣으면 좋을 것입니다.
EUR / USD 차트에 돌아가서 어디에 역지정가를 넣을 수 있는지 확인해봅시다.
타겟을 설정하는데 있어 일반적으로 이익 확정 포인트로서 다음 피벗 포인트 지지선 또는 저항선 레벨을 노립니다. 경제에 관련된 큰 사건이나 뉴스가 없는 한 모든 피벗 포인트 레벨을 빠지는 일은 거의 없습니다.
EUR / USD 차트에 돌아가서 어디에 역지정가와 이익 확정을 넣을 수 있는지 확인해봅시다.

이 예에서는 가격이 R1을 빠져 나간 것을 확인하고 R1 바로 아래에 손절매 주문을 설정합니다. 가격이 계속 상승할거라고 예상되면, 포지션을 유지하면서 수동으로 손절 포인트를 이동시켜 봅시다. 신중하게 확인하면서 적절히 조정합시다.
어떤 방법도 인디케이터가 같고, 브레이크 아웃을 노린 거래에서도 리스크의 존재를 의식 해 둡시다.
우선, 현재 움직임이 그대로 이어질지는 모르겠습니다. 가격이 계속 상승할 거라고 보고 엔트리할지도 모르지만 그보다 톱 또는 보텀을 잡으면 속을 것입니다.
두 번째가 진정한 브레이크 아웃인지 아니면 중요한 뉴스 발표로 인해 일어난 움직임인지 확신 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휘발성에 의한 스파이크는 지표 발표시에는 자주 있는 일이므로,항상 뉴스 속보에 안테나를 치고F X 달력에서 무엇이 화제가 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둡시다.
레인지에서의 거래와 마찬가지로 다른 열쇠가 되는 지지선 및 저항선 레벨에 갈아탑시다. R1이 브레이크하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R1을 막 넘은 곳에서 강력한 저항선을 알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가격은 R1을 넘어 브레이크하고 저항선을 테스트 한 다음에 하강 방향으로 다시 돌아갈 것입니다.
브레이크가 진짜인지 시그널을 제공해주는 지지선과 저항선, 캔들스틱 패턴, 그리고 모멘텀 인디케이터와 같은 툴을 최대한 활용합시다. 그러면 브레이크가 진짜인지 시그널을 제공 해줍니다.